모네이저 로고 모네이저 Moneiger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 계산기

현재 나이, 총 가입 기간, 월 기준소득만 입력하면 정시 수령 기준 국민연금 예상 금액을 보여드립니다. 물가상승률과 기대수명 가정에 따른 실질 가치, 재미있는 생활물가 예시까지 함께 확인해 보세요.

정시 연금 수령 기준 물가상승률 반영 생활물가 시뮬레이션

정시 수령 기준(65세)을 기본값으로 하며, 60~70세 사이에서 조정할 수 있습니다.

이직, 군복무, 휴직 등 제외된 기간은 뺀 순수 가입 연차를 입력하세요.

앞으로 계속 납부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간을 넉넉하게 입력하세요. 현재 가입 기간과 합산해 총 가입 연수를 계산합니다.

국민연금에서 사용하는 기준소득월액을 입력하세요. 최소 350,000원, 최대 5,530,000원으로 제한됩니다.

최근 10년 소비자물가상승률 평균값(약 2%)을 기본으로 합니다. 낙관·비관 시나리오를 보고 싶다면 슬라이더를 조정하세요.

기대수명을 조정하면 총 수령 기간과 누적 금액이 함께 변동됩니다.

단순화된 산식

국민연금 월 수령액 = (전 국민 평균소득월액 + 개인 평균소득월액) ÷ 2 × 0.015 × 가입 연수. 실제 제도에서는 출생연도별 보너스, 연기/조기 수령 가감 등이 반영됩니다.

물가 반영 방식

최근 10년 평균 소비자물가상승률을 기본값으로 사용합니다. 연금 수령까지 남은 기간만큼 복리로 계산해 실질 가치를 추정합니다.

기대수명 가정

통계청 생명표 기준 평균 기대수명을 기본으로 하며, 사용자 입력에 따라 총 수령 기간이 달라집니다. 가정한 기대수명 이후에는 연금이 지급되지 않은 것으로 계산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제도 설명과 계산 가정을 미리 확인해 주세요.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은 어떻게 계산하나요?

국민연금 월 예상 수령액은 (전 국민 평균소득월액 + 개인 평균소득월액) ÷ 2 × 0.015 × 가입 기간(년)으로 단순화해 계산합니다. 실제 제도에서는 출생연도별 가산/감액, 연기연금 등의 요소가 추가로 반영됩니다.

월 납입 보험료 대신 월 소득을 입력하면 되나요?

네. 국민연금 기준소득월액(월 급여)과 동일한 값을 입력하면 됩니다. 최소·최대 기준소득월액(2024년 기준 350,000원~5,530,000원)을 벗어나는 경우 자동으로 범위 안으로 맞춰집니다.

물가상승률은 변경할 수 있나요?

최근 10년 평균 소비자물가상승률(약 2.0%)을 기본값으로 적용하며, 필요하다면 슬라이더로 0%~5% 범위에서 조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