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네이저 로고 모네이저 Moneiger

월급 실수령액 계산기

총 급여를 입력하면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 고용보험, 소득세(지방소득세 포함)를 자동으로 계산해 실수령액을 보여드립니다. 모든 계산은 브라우저에서만 수행되므로 입력한 값이 서버로 전송되지 않습니다.

4대 보험 반영 실시간 계산 결과 복사 지원

기본급과 모든 고정 수당을 포함한 금액을 입력하세요.

3,500,000원 (삼백오십만원)

식대 등 비과세 항목이 있다면 입력하세요. 없으면 0으로 두셔도 됩니다.

100,000원 (일십만원)

배우자와 20세 이하 자녀 등 기본공제 대상 인원을 입력하세요.

통계청 월평균 임금 분위 기준 연령대를 선택하면 내 위치를 함께 보여드립니다.

산출 기준

국민연금 4.5%, 건강보험 3.545%, 장기요양 12.81%(건강보험의 비율), 고용보험 0.9%, 소득세·지방소득세는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를 단순화한 모델을 사용했습니다.

부양가족 공제

부양가족 수에 따라 간이세액 공제를 반영합니다. 실제 간이세액표와 오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연말정산 시점에 다시 확인해주세요.

다음 계산기로 이동

전세 vs 월세 비교 계산기에서 이직/이사 계획 시 필요한 주거 비용을 바로 비교해 보세요.

자주 묻는 질문

실제 급여와 차이가 생기는 이유, 입력 시 주의사항을 확인하세요.

왜 실제 급여와 결과가 다를 수 있나요?

회사별로 상여금, 선택적 복지 포인트, 식대와 같은 비과세 항목 구성이 다르고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는 월별 환산 기준이기 때문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소득 공제 항목을 추가로 적용하면 더 정확해집니다.

세후 월급 계산 시 연봉을 입력해도 되나요?

연봉을 월로 나누어 입력하면 되지만, 계약서상 기본급과 고정 수당만 포함된 금액을 권장합니다. 변동 상여금이나 인센티브는 월별 실수령액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부양가족 수에는 어떤 사람이 포함되나요?

본인을 제외한 배우자, 만 20세 이하 혹은 소득 요건을 충족하는 직계가족이 해당됩니다. 부모님의 경우 나이·소득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모네이저 계산기는 기본 간이세액표 기준으로 단순화해 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