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 실수령액 계산기
총 급여를 입력하면 국민연금, 건강보험, 장기요양, 고용보험, 소득세(지방소득세 포함)를 자동으로 계산해 실수령액을 보여드립니다. 모든 계산은 브라우저에서만 수행되므로 입력한 값이 서버로 전송되지 않습니다.
실수령액 결과
0
세전 대비 0% 수준입니다.
월 공제 상세 터치하여 열기
- 국민연금 0원
- 건강보험 0원
- 장기요양 0원
- 고용보험 0원
- 소득세 0원
- 지방소득세 0원
- 총 공제액 0원
- 월 실수령액
- 0원
- 연 실수령액
- 0원
- 연 총 급여
- 0원
- 과세 대상 월 급여
- 0원
연령대 비교
상위 0%※ 본 계산 결과는 참고용이며 실제 급여 시스템, 상여, 세액공제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산출 기준
국민연금 4.5%, 건강보험 3.545%, 장기요양 12.81%(건강보험의 비율), 고용보험 0.9%, 소득세·지방소득세는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를 단순화한 모델을 사용했습니다.
부양가족 공제
부양가족 수에 따라 간이세액 공제를 반영합니다. 실제 간이세액표와 오차가 있을 수 있으므로 연말정산 시점에 다시 확인해주세요.
다음 계산기로 이동
전세 vs 월세 비교 계산기에서 이직/이사 계획 시 필요한 주거 비용을 바로 비교해 보세요.
자주 묻는 질문
실제 급여와 차이가 생기는 이유, 입력 시 주의사항을 확인하세요.
왜 실제 급여와 결과가 다를 수 있나요?
회사별로 상여금, 선택적 복지 포인트, 식대와 같은 비과세 항목 구성이 다르고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는 월별 환산 기준이기 때문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연말정산, 소득 공제 항목을 추가로 적용하면 더 정확해집니다.
세후 월급 계산 시 연봉을 입력해도 되나요?
연봉을 월로 나누어 입력하면 되지만, 계약서상 기본급과 고정 수당만 포함된 금액을 권장합니다. 변동 상여금이나 인센티브는 월별 실수령액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부양가족 수에는 어떤 사람이 포함되나요?
본인을 제외한 배우자, 만 20세 이하 혹은 소득 요건을 충족하는 직계가족이 해당됩니다. 부모님의 경우 나이·소득 요건을 충족해야 하며, 모네이저 계산기는 기본 간이세액표 기준으로 단순화해 반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