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봉 실수령액 계산기
연봉과 월 비과세 수당, 부양가족 수를 입력하면 월 실수령액과 연 실수령액을 동시에 계산해 드립니다. 공제는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와 4대 보험 요율을 기반으로 산출합니다.
연봉 기준 실수령액
연 실수령액 0원
월 실수령액은 0원, 세전 대비 0% 수준입니다.
월 공제 상세 터치하여 열기
- 월 국민연금 0원
- 월 건강보험 0원
- 월 장기요양 0원
- 월 고용보험 0원
- 월 소득세 0원
- 월 지방소득세 0원
- 월 총 공제액 0원
- 연 실수령액
- 0원
- 월 실수령액
- 0원
- 연 총 급여
- 0원
- 과세 대상 월 급여
- 0원
연령대 비교
상위 0%※ 본 계산 결과는 참고용이며 실제 급여 시스템, 상여, 연말정산 결과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월/연 동시 확인
연봉을 나눌 필요 없이 연/월 실수령액을 한 번에 확인할 수 있어요. 월 공제 내역도 함께 제공되어 체감 금액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비과세 & 부양가족 반영
월 비과세 수당과 부양가족 수를 입력하면 근로소득 간이세액표의 공제 구간을 적용해 보다 현실적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다음 계산기로 이동
월세/전세 비교나 대출 상환 계획도 연봉 실수령액과 함께 점검해 보세요. 모네이저의 다른 계산기로 빠르게 이동할 수 있습니다.
자주 묻는 질문
연봉 기준 실수령액 계산 시 알아두면 좋은 사항을 정리했습니다.
연봉을 월급으로 나눠 계산하는 이유가 뭔가요?
근로소득 간이세액표는 월 급여 기준으로 설계되어 있어 연봉을 12로 나눈 후 세액을 계산합니다. 이렇게 계산한 월 실수령액을 다시 12배 해 연 실수령액을 구합니다.
비과세 수당은 월 기준으로 입력하면 되나요?
네, 식대 등 월 단위로 지급되는 비과세 수당을 입력해주세요. 연봉에 포함되지 않은 비과세 항목이 있다면 월 기준으로 입력하면 총 공제액에서 제외되어 보다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보너스나 인센티브는 어떻게 반영되나요?
해당 계산기는 고정 급여 기준으로 동작합니다. 보너스/인센티브 성격의 변동 급여가 있다면 연봉에 포함시키기보단 별도로 시나리오 계산을 진행하는 것을 권장합니다.